본문 바로가기
IT 지식

양자 컴퓨터에 의한 비트코인 보안 안전할 수 있을까?

by 정보왕종이배 2025. 1. 3.

포스팅 썸네일

 

 

 

 

양자 컴퓨터가 요즘 핫하게 떠오르면서 블록체인 기술의 보안에 대한 우려가 날로 높아지고 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에서도 양자컴퓨터의 발전에 따라 비트코인의 보안이 위협받을 수 있으며 잠재적으로 블록체인 산업 전체가 큰 위협에 빠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이어서 양자 컴퓨터 발전에 따라 10년 이내 개인 키를 불과 몇 분만에 해독하고 비트코인의 보안 아키택처를 손상 시킬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오늘 포스팅을 통해 양자 컴퓨터란 무엇인지 정말 비트코인의 보안을 위협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시다.

 

 

 

 

 

 

양자 컴퓨터란 무엇인가?

 

양자 컴퓨터는 현재까지 사용되어 오던 비트가 아닌 큐비트라고 불리는 양자 비트를 사용하여 정보를 처리합니다.

기존의 비트는 0이 아니면 1의 고정적인 상태만 가질 수 있지만 큐비트는 이 두 상태를 동시에 가질 수 있어서 데이터 처리 속도가 기존의 컴퓨터 보다 엄청나게 빨라지게 됩니다.

 

실제로 기존 슈퍼컴퓨터가 몇 십년, 몇 백년 걸려서 계산이 가능한 문제를 구굴에서 개발한 양자 컴퓨터가 수 십분만에 풀어내는 성과를 보이기도 하였습니다.

 

 

 

 

 

 

 

 

 

 

양자 컴퓨터가 비트코인 보안에 위협이 되는 이유

 

비트코인은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그 보안의 핵심은 암호화에 있습니다.

핵심을 담당하는 두가지 암호화 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SHA-256 :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 채굴과 블록 생성을 위한 해시함수
  • ECDSA(Eliptic Curve Digital Signature Algorithm) : 비트코인 거래를 승인하는 디지털 서명 기술

이런 보안은 복잡한 수학 문제에 기반을 두어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풀어내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을 요구합니다.

하지만 앞서 알아 본 양자 컴퓨터 계산 능력 때문에 복잡한 수학문제에 기반을 둔 암호화가 쉽게 뚫릴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어서 우려가 되는 것입니다.

 

SHA-256은 양자 컴퓨터가 그로버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해시 충돌을 빠르게 찾을 수 있긴 하지만 이를 계산하기 위한 큐비트의 수가 크기 때문에 더욱 발전되기 전까지는 안전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ECDSA의 타원 곡선 알고리즘은 일반 컴퓨터로 해독이 거의 불가능하지만 양자 컴퓨터의 쇼어 알고리즘을 통해 빠르게 해독 가능하다는 취약점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비트코인 지갑의 개인키 노출 위험이 발생하며 아직 사용되지 않은 주소와 공개키가 노출된 주소가 주요 타겟이 될 확률이 높습니다.

 

 

 

 

 

 

양자 컴퓨터 이미지

 

 

보안 문제에 대한 대비는?

 

비트코인 네트워크는 이러한 위협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런 위협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미 다양한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고 포스트 양자 암호화 기술을 연구 중에 있습니다.

추후 새로운 암호화 기술이 연구 되면 비트코인 네트워크에 적용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양자 컴퓨터가 위협되기는 하지만 이에 대비하기 위하여 보안을 더욱 강화하는 노력들이 많아질 것이 분명하기에 장기적으로 볼 때는 비트코인을 비롯한 여러 암호화폐의 효율성과 보안성이 더욱 강화 될 것이라고 전망 됩니다.

 

 

 

 

 

 

 

 

마무리

 

오늘 포스팅에서는 양자 컴퓨터 대하여 알아보고 어떤 부분에서 비트코인 보안에 위협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확실히 양자 컴퓨터의 발전은 블록체인 기술의 치명적인 위협될 것은 확실합니다.

하지만 모든 시스템이 그렇듯 위협이 예상되면 그 위협을 극복하기 위하여 많은 부분에서 기술적 진보를 이루어 냅니다.

 

너무 먼저 사서 걱정하기 보다는 계속해서 지켜보며 보안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추후 어떠한 위협이 사라지며 생길 지에 대하여 장기적으로 지켜보는 태도를 가지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 됩니다.

 

 

반응형

댓글